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JAVA - SPRING3

java 명령어 -D 옵션 java 명령의 -D 옵션은 시스템 속성을 시작할 때 JVM(Java Virtual Machine)에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 시스템 속성은 JVM을 구성하고 응용프로그램에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java -Dproperty=value를 사용하여 시스템 속성을 JVM에 전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property는 시스템 속성의 이름이고 value는 해당 값입니다. 시스템 속성은 응용 프로그램이 System.getProperty 메서드를 통해 액세스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로그 수준 설정, 구성 파일 위치 지정 또는 시스템별 정보 제공과 같은 JVM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음은 java 명령에서 -D 옵션을 사용하는 방법의 예입니다: java -Dlo.. 2023. 2. 4.
SPRING DI, IoC Container 이게 몬데 ? * 아래 내용의 더 자세한 내용은 링크로 ! https://youtu.be/WjsDN_aFfyw https://youtu.be/QrIp5zc6Bo4 DI (dependeny Injection) 종속성 주입 ? 뭔말이여... 그냥 부품조립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Dependency를 부품으로 생각하면 되고 이걸 조립하는게 DI라고 생각하는데 이해하기 쉽슴다 그래서 스프링의 능력중하나가 DI라는 것인데 스프링이 개발자대신에 부품조립을 해준다는 말입니다. 즉, 스프링 설정파일에 설정만 해두면 조립은 전부 스프링이 알아서 해준다~ 요말이죠 IoC( Inversion Control ) Container 부품조립하는 순서를 역순으로 한다는 말인데요 즉, 작은 부품먼저 만들고 그것들을 좀 더 큰 부품에 결합한다는 내용입.. 2022. 9. 7.
컨트롤러에서 View말고 Data만 전달하고 싶을 때 JAVA SpringFramework의 ResponseEntity ? SpringFramework에서 보통 컨트롤러의 반환 값은 'View' 이름이다 public String getList(){ ... ... return "listView" } 즉, return 값으로 View의 이름을 반환함으로써 해당 View를 랜더링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때 랜더링을 함으로써 View(화면)을 부르는게 아닌 Data(정보)만 반환해야 할 때는 어떻게 할까 ? 이때 사용하는 것이 ResponseEntity 클래스이다 public ResponseEntity licensee_list(){ return new ResponseEntity(result, responseHeaders, HttpStatus.CREATED) }.. 2021. 10. 29.
반응형